본문 바로가기
주식

FSC , LCC 뜻과 차이 feat.항공주 전망

by yoojoodaddy 2021. 1. 30.
FSC , LCC 뜻과 차이




FSC와 LCC ??? 용어가 어렵다 간단하게 알아보자


FSC (full service carrier)

 



말그대로 풀어보자 풀서비스

기내식과 수화물 기타서비스를 가격에 포함시켜주는 고가항공사라고 보면된다

이들은 국적기라고도 부르는 대형 항공사이다 우리나라에는 대한항공 그리고 아시아나항공이 있다


LCC (low cost carrier)



말그대로 풀어보자 로우코스트
직역하면 저렴한 비용이다 

항공요금이외에는 별다른 서비스를 제공을 없애고 항공요금을 저렴하게 20~30% 저렴하게 하여 
이들을 저가항공사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진에어 에어부산 제주항공 등이다

 

gwangkeul.tistory.com/13

 

대한항공 주식 매수(산다)vs매도(판다)

사면안된다 입장(매도) >>> 변의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로 인한 여객기 운행 정상화가 불투명하다 >>> 유상증자를 통한 엄청난 양의 신주가 시장에 들어올 경우 주가희석으로 엄청난 악재로

gwangkeul.tistory.com

항공주 기대



코로나확산으로 침체된 
항공주 회복은 코로나의 회복 즉
코로나백신이 문제이다

백신이 해결되고 
사람들의 심리적인공포가 해결되어야만
회복이 이뤄질거라 추측해본다


그러기에
백신접종은 항공주에게 엄청난 호재로 다가올 것이고 
이때 한번 꿈틀거리며 올라가지 않을까
 
주식은 떨어질 자리가 없는 걸 사야되는데 지금이 바로 그때
항공주가 바닥까지는 아니더라도 낮게 형성된 가격대에 
들어가면 좋다

항공주 회사가 안좋은게 아니라 업황 자체가 좋지 않기 때문에 
업황이 좋아지면 항공주는 금새 회복국면으로 돌아설거라는 생각을 가져본다

코로나가 조금씩 잠잠해진다면 그동안 논의를 못했던 트래블버블이
논의 될 것이다 코로나 음성확인이 된다면 두 지역간의 여행을
허용하는 트래블버블안에서 자유롭게 여행을 할 수있다면 주가의 출렁임이 있을 것이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 항공을 M&A하면 독점적인 기업으로 돈을 긁어모으지 않을까 생각이든다



장거리 노선에 최적화된 FSC 1위업체 대한항공이 아시아나 항공과 인수합병을하면서
운송량 측면에서 본다면 세계7위규모의 거대공룡기업으로 승격하며 
억눌려왔던 여행소비심리폭발과 그로인한 장거리노선수요증가가 
우리나라 사실상 국적기라고 불리우는 업체 대한항공의 기대를 걸어본다

 

 

gwangkeul.tistory.com/12

 

대한항공46R 알아보자 (신주인수권 매수 장점)

대한항공 신주인수권 46R이란 권리락 이전에 대한항공의 기존 주주들에게 유상증자를 통해 희석된 주가를 보상하기 위해 일종의 '주식 분양권' 같은 것이다 유상증자를 통한 대한항공 신주

gwangkeul.tistory.com